
[오늘경제 = 장미란 기자]
뉴욕증시 주요 지수는 연방공개시장위원회(FOMC) 의사록을 주시하며 혼조세로 마감했다.
연준은 완화적 통화정책에 당분간 변함이 없을 것이라는 점을 재확인했으나 시장은 담담한 반응을 보였다.
7일(현지시간) 뉴욕증권거래소(NYSE)에서 다우존스 30 산업평균지수는 전장보다 16.02포인트(0.05%) 상승한 33446.26으로 장을 마쳤다.
스탠더드앤드푸어스(S&P) 500 지수는 전장보다 6.01포인트(0.15%) 오른 4079.95로 마감, 종가 기준 사상 최고치를 기록했다.
기술주 중심의 나스닥지수는 9.54포인트(0.07%) 하락한 13688.84로 장을 마감했다.
시장은 연방준비제도(연준·Fed)의 연방공개시장위원회(FOMC) 의사록을 주시했다.
연준은 지난 3월 FOMC 회의에서 2023년까지 제로금리 수준을 유지할 것이라는 기존 전망을 유지했다.
연준이 완화적 통화정책을 지지하고 있는 가운데 시장은 FOMC에서 자산 매입 규모 축소 시기가 논의됐을지에 주목했다.
이날 발표된 연준의 3월 16~17일 FOMC 의사록에 따르면 위원들은 경제가 크게 개선되는 것을 목격하고 있으나 완화적 정책에 변화를 주기 위해서는 더 큰 진전이 필요하다고 말했다.
기존의 완화적 정책을 지속, 자산 매입프로그램에 변화를 주지 않을 것임을 재확인한 것이다.
연준 위원들도 이러한 연준의 입장에 힘을 실었다.
찰스 에번스 시카고 연방준비은행(연은) 총재는 이날 연설에서 연준의 물가 및 고용 목표를 달성하기 위해서는 당분간 완화적 통화정책이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그는 “향후 몇 개월 동안 물가 상승세가 이어질 것”이라면서도 “물가 압력이 연준의 2% 목표를 지속해서 달성하려면 시간이 좀 걸릴 수 있다”고 말했다.
라엘 브레이너드 연준 이사도 CNBC에 출연해 “경제 전망이 상당히 밝아졌다”면서도 “목표까지는 거리가 멀다”는 진단을 내놨다.
오늘경제
-
[뉴욕증시] 사상 최고치 부담 속 숨고르기 장세…다우 0.29%↓
[오늘경제 = 장미란 기자]뉴욕증시 주요 지수는 전날 사상 최고치를 기록한 데 따른 부담 속에 숨고르기 장세를 보였다. 6일(현지시간) 뉴욕증권거래소(NYSE)에서 다우존스 30 산업평균지수는 전장보다 96.95포인트(0.29%) 하락한 33430.24에 마감했다. S&P500 지수는 전장보다 3.97포인트(0.10%) 떨어진 4073.94에, 기술주 중심의 나스닥 지수는 7.21포인트(0.05%) 하락한 13698.38에 장을 마쳤다.지난주 발표된 3월 고용지표와 전날 경제지표가 긍정적으로 나오면서 뉴욕증시 주요 지수는 전날 활짝
2021-04-07 | 증권 -
[뉴욕증시] 고용·경제지표 ‘경제 회복’ 시그널…다우·S&P 최고치 경신
[오늘경제 = 장미란 기자]미국 경제가 회복되고 있음을 보여주는 각종 경제지표 발표에 뉴욕증시 주요 지수가 환호를 보냈다. 지난주 후반 발표된 고용지표와 이날 발표된 경제지표 모두 양호하게 나오면서 다우존스 30산업평균지수와 스탠더드앤드푸어스(S&P) 500 지수가 사상 최고치를 찍었다. 5일(현지시간) 뉴욕증권거래소(NYSE)에서 다우존스 30 산업평균지수는 전장보다 373.98포인트(1.13%) 상승한 33527.19에 마감했다.S&P500 지수는 전장보다 58.04포인트(1.44%) 오른 4077.91에, 기술주 중심의 나스닥
2021-04-06 | 증권 -
[뉴욕증시 주간전망] 대규모 인프라 투자에 고용 호조까지…상승 탄력 받을까
[오늘경제 = 장미란 기자]이번 주(5~9일) 뉴욕증시는 조 바이든 미국 대통령의 인프라 투자 계획과 미국의 3월 고용지표 호조로 상승세에 탄력을 받을 전망이다. 7일(이하 현지시간) 예정된 연방준비제도(연준·Fed)의 연방공개시장위원회(FOMC) 의사록과 제롬 파월 의장의 발언도 주목된다. 지난주 다우존스 30 산업평균지수는 약 1.64% 올랐다. 스탠더드앤드푸어스(S&P) 500지수도 2.82%가량 올라 4000선을 넘어섰다. 나스닥지수는 약 3.87% 상승했다.바이든 대통령의 2조 2500억 달러 규모 인프라 투자 계획에 힘입
2021-04-05 | 증권
-
2021-04-02
-
2021-04-01
-
2021-04-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