테크에리스, ‘에디터스 초이스’ 선정… “가장 미래 지향적인 TV”
포브스, “환상적인 블랙 구현”, “강렬한 밝기와 블랙의 미묘함까지 표현”

[오늘경제 = 최주혁 기자]
삼성전자가 지난 1월 ‘삼성 퍼스트 룩(Samsung First Look)’에서 공개한 ‘Neo QLED’가 미국 유력 매체들로부터 ‘최고의 TV’라는 평가를 받으며 현지에서 '대세화'를 이끌고 있다.
Neo QLED는 ‘퀀텀 미니 LED’, ‘Neo 퀀텀 매트릭스 테크놀로지’를 적용하고 삼성 독자의 인공지능(AI) 기반 제어 기술인 ‘Neo 퀀텀 프로세서’를 통해 업계 최고 수준의 화질을 구현한 제품으로 건전한 성장세를 타고 있는데, 이 같은 현지 소비자들의 관심 속에서 향후 점유율을 한층 높일 것으로 기대된다.
1일 삼성전자에 따르면 미국 테크 전문가 그룹 ‘AVS 포럼(AVS Forum)’은 삼성 Neo QLED (QN90A)에 대해 “게임·영화·스포츠 등 어떤 콘텐츠를 즐기더라도 최고의 홈 엔터테인먼트 경험을 전달한다”고 평가하며, 2021년 ‘최고의 제품(Top Choice)’으로 선정했다.
이 매체는 특히 “타의 추종을 불허하는 게이밍 성능(Unbeatable Gaming TV)”을 가진 제품이라고 호평하고 ▲부드럽고 선명한 표현이 가능한 4K, 12비트 백라이트 콘트롤 ▲HDR까지 적용된 프리싱크 프리미엄 프로 ▲21:9, 32:9 등으로 화면 조절이 자유로운 업계 최초 울트라 와이드 뷰(Wide Game View) ▲업계 최초 게임바(Game Bar) 기능 등을 차별점으로 꼽았다.
미국의 IT 전문 매체 ‘테크에리스(Techaeris)’는 삼성 Neo QLED(QN90A)를 ‘에디터스 초이스(Editor’s Choice)’로 선정하고 “가장 미래지향적인 TV”라고 평가했다.
이 매체는 특히 성능 측면에서 ▲업그레이드된 AI 기반의 Neo 퀀텀 프로세서를 통해 최적화된 화질 ▲AMD 프리싱크 프리미엄 프로, 오토 게임모드, 최단 시간 인풋랙 등의 기술을 갖춘 게이밍 기능 ▲다양한 서비스 앱이 갖춰진 타이젠 스마트 플랫폼 ▲태양광이나 실내조명을 이용해 충전되는 태양광 리모컨 등 화질 뿐만 아니라 사용자 편의를 위한 다양한 기능에 대해 호평했다.
글로벌 경제 전문지 ‘포브스(Forbes)’는 “삼성 Neo QLED(QN90A)의 블랙 표현은 환상적(Sensational)”이라며, 진화한 Neo QLED의 화질을 높이 평가했다.
이 매체는 Neo QLED가 “화려한 색채 표현을 하면서도 OLED와 같은 깊이에 더 균일하고, 깜빡임(Flicker) 없는 블랙을 구현하고 있다”며 또한 “강렬한 밝기와 블랙의 미묘함을 모두 잘 표현하고 있다”고 언급했다.
삼성전자 영상디스플레이사업부 성일경 부사장은 “Neo QLED 신제품이 유럽에 이어 미국에서도 탁월한 제품력을 인정받고 있다”며 “화질ㆍ사운드ㆍ디자인 등 모든 부분에서 지속적인 혁신을 통해 더 많은 소비자들이 삼성 TV가 제공하는 압도적 화질과 새로운 라이프스타일을 경험할 수 있도록 힘쓸 것”이라고 말했다.
오늘경제
-
삼성전자 R&D 투자, 2위에서 4위로 하락…화웨이에 밀렸다
[오늘경제 = 이효정 기자]삼성전자의 연구·개발(R&D) 투자액이 화웨이에 밀려 2019년 기준으로 4위를 기록했다. 이는 전년 2위에서 두 계단 하락한 순위다.한국산업기술진흥원(KIAT)은 2019년 국내외 R&D 투자 상위 1000대 기업 현황 분석 결과를 26일 발표했다. 삼성전자는 전체 매출액의 8.8%인 155억 유로(약 21조원)를 R&D에 투자, 4위를 기록했다. 삼성전자는 2016년 4위에서 2017년 1위로 껑충 뛰었으나, 2018년에는 2위로 밀렸다.232억 유로를 투자한 구글의 모회사 알파벳은 2018년에 이어
2021-02-26 | 기업 -
권오현 삼성전자 고문, 제19대 한국발명진흥회장 선임
[오늘경제 = 최해원 기자]권오현 삼성전자 고문이 특허청 산하 공공기관인 한국발명진흥회(KIPA) 제19대 회장에 선임돼 25일 서울 강남구 역삼동 한국지식재산센터에서 취임식을 했다.권 신임 회장은 이날 취임사에서 "한국발명진흥회가 국민에게 신뢰받는 공공기관으로 미래 성장을 향해 한 걸음 더 나아가도록 최선을 다하겠다"고 말했다.그는 이어 "한국발명진흥회는 200만 발명특허인들과 함께 있다"며 "특허청, 중기부, 교육부 등 여러 부처 및 전국 20여개가 넘는 지자체와 함께 지식재산 생애주기별 종합 서비스를 전국민에게 제공하고 있다.
2021-02-25 | 사람들 -
[반도체 생태계 180도 바뀔까] 정부, '총수부재' 삼성 133조 시스템반도체 투자 위해 규제 완화 등 지원
[오늘경제 = 최주혁 기자] 문재인 정부가 세계 1위 메모리 제조업체인 삼성전자의 '대규모 시스템 반도체 투자'가 원활히 이행될 수 있도록 규제 완화 등 행정적 지원을 앞당기기로 했다.아울러 총 6500억원 규모의 민간 펀드와 정책금융을 활용해 중소·중견 시스템 반도체 기업을 지원하는 등 반도체 생태계 육성에도 나선다.정부는 25일 오전 제5차 혁신성장 빅3 추진 회의를 열고 이런 내용을 담은 민간 중심의 시스템반도체 성장 지원방안을 발표했다.삼성전자는 시스템반도체 글로벌 1위 달성을 위해 오는 2030년까지 133조
2021-02-25 | 기업
-
2021-02-24
-
2021-02-24
-
2021-02-2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