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씨티은행. [사진 = 연합 제공]](/news/photo/202102/69851_41220_1458.jpg)
[오늘경제 = 최주혁 기자]
글로벌 금융그룹 씨티그룹이 한국을 포함한 아시아지역에서 완전 철수를 검토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블룸버그 통신은 20일(한국시간) 복수의 고위 소식통의 말을 인용 "씨티그룹이 한국, 태국, 필리핀, 호주를 포함한 아시아 태평양 지역에서 소매금융 사업을 매각하는 방안을 검토 중"이라고 전했다.
특히 이 같은 철수 의지는 새로 취임한 제인 프레이저 씨티그룹 최고경영자(CEO)의 그룹 재정비 의중이 고스란히 반영된 것으로 알려져, 사실상 철수를 기정사실화 한 것 아니냐는 관측이다. 소식통은 "소매사업 축소의 일환으로 진행 중"이라고 전했다.
현재 씨티그룹은 아시아 태평양 12개 지역, 유럽·중동·아프리카 5개 지역 등 전세계 17개 시장에 진출해 있다.
이와 관련 씨티그룹 대변인은 성명을 내고 "프레이저 CEO가 지난 1월 공론화한 것처럼, 우리는 기존 전략의 수정을 면밀하게 검토 중"이라며 "논의의 시간을 충분히 가진 뒤, (철수와 관련된) 다양한 옵션을 내놓을 것"이라고 전했다.
만약 씨티은행의 아시아태평양 지역 철수가 최종 결정될 경우, 그룹은 해당 법인을 현지 은행에 매각할 방침이다. 시장 철수는 '단계적으로' 진행된다.
시티그룹은 현재 적극적으로 매각 작업에 착수한 상황이며, 성장 잠재력이 있는 시장에 집중하기로 한 것으로 알려졌다.
한국 시장에서 철수가 본격화될 경우, 구조조정 바람도 곧바로 거세질 것이라는 분석이 나온다.
지난해 4분기 씨티그룹의 아시아 지역 소매금융 수익은 10억 5500만달러로 15%나 떨어지는 등 수익구조가 악화된 상황이다.
글로벌 무역전쟁이 격화하고 이로 인해 고객들의 거래가 위축되며 매출이 급격히 감소되는 등 경기전망이 어두워지면서 발생한 결과물로 풀이된다.
한 관계자는 "미래지향적인 외국은행들이 갑자기 국내에서 철수하는 것은 영업환경이 좋지 않다는 반증"이라며 "노동조합이 장악하고 사회주의 색깔의 여당 정부에서 어떤 자유민주주의 경제원칙의 나라가 투자를 할 것인가?"라고 반문했다.
한편 씨티은행의 철수설은 지난 2017년에도 수면 위로 떠오른 바 있으며, 당시 박진회 전 한국씨티은행장은 부랴부랴 '사실무근'이라고 진화에 나선 바 있다.
오늘경제
-
한국씨티은행, 아시아머니 선정 ‘2020 한국 최우수 인터내셔널 은행’ 수상
[오늘경제 = 임주하 기자]한국씨티은행(은행장 유명순)은 아시아머니(Asiamoney)사로부터 ‘2020 한국 최우수 인터내셔널 은행(Best International Bank in Korea for 2020)’에 선정됐다고 11일 밝혔다. 한국씨티은행은 본 상을 4년 연속 수상했다.아시아머니사는 ‘아시아머니 뱅킹 어워드 2020(Asiamoney Banking Awards 2020)’에서 “한국씨티은행은 장기적 코로나 19 상황하에서도 기업금융 및 투자상품과 방카슈랑스 등 소비자금융 자산관리부문에서 탁월한 성과를 보였다”고 선정
2021-01-11 | 은행 -
한국씨티은행, 15년째 ‘NGO 인턴십 프로그램’ 후원하는 까닭
[오늘경제 = 임주하 기자]한국씨티은행은 경희대학교와 지난 9일 오후 서울 종로구 새문안로 소재 한국씨티은행 본점에서 ‘제15기 씨티-경희대학교 NGO 인턴십 프로그램’ 후원 협약식을 갖고, 2억원의 후원금을 전달했다고 10일 밝혔다.한국씨티은행이 후원하고 경희대학교 공공대학원이 주관해 지난 2006년부터 운영되고 있는 ‘씨티-경희대학교 NGO 인턴십 프로그램’은 대학(원)생 인턴참가자들이 겨울방학 기간 동안 NGO단체에서 시민단체활동을 경험할 수 있도록 지원하는 프로그램이다.지난 14년간 NGO단체에 총 1289명의 인턴을 파견했
2020-12-10 | 은행 -
[지역 경제] 한국씨티은행 지역사무소 부산 유치, 어떻게 성공했을까
[오늘경제 = 임주하 기자] 부산시(시장 권한대행 변성완)는 부산국제금융센터(BIFC) 63층 공간(부산시 D(Decacorn)-Space BIFC, 이하 D-Space BIFC)에 우선 입주대상으로 홍콩의 BMI GROUP Limited 등 6개사를 유치했다고 밝혔다. 데카콘(Decacorn)은 기업 가치가 100억 달러 이상인 기업을 말한다.'D-Space BIFC'는 부산시가 아시아 금융 허브 도시로 도약하기 위해 조성하는 공간이다. 부산시는 홍콩 금융 허브 위상 변화에 대응해 부산국제금융센터 63층 꼭대기 공간
2020-12-09 | 사회
-
2020-11-26
-
2020-11-16
-
2020-10-2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