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글로벌 콘텐츠 기업과 본격 IP 사업 협의 확대
![네이버 한성숙 대표. [사진=네이버 제공]](/news/photo/202101/67864_39895_531.jpg)
[오늘경제 = 한송희 기자]
네이버가 웹툰·웹소설 등 원작을 바탕으로 한 드라마 등을 제작하고자 글로벌 콘텐츠 기업과 본격적으로 논의에 들어가는 등 글로벌 엔터테인먼트 시장에서 독보적인 플레이어가 되기 위해 총력전을 펼치고 있다.
박상진 최고재무책임자(CFO)는 28일 작년 4분기 실적 발표 후 컨퍼런스콜(전화회의)에서 "글로벌 콘텐츠 기업들과 본격적으로 지적재산(IP) 비즈니스를 협의중"이라며 "웹툰·웹소설 영상화로 콘텐츠를 강화하고 글로벌 시장에서 2차 IP 사업 확대도 가능할 것"이라고 말했다.
박 CFO는 "글로벌 온라인 동영상 서비스(OTT·Over the Top) 시장의 경쟁이 굉장히 심화하고 좋은 스토리 IP의 수요가 커지고 있다"며 "양질의 IP 확보가 굉장히 중요한데, 웹툰·웹소설은 다양한 창작자 확보가 용이한 플랫폼"이라고 말했다.
네이버웹툰에서 연재한 '스위트홈'이 최근 넷플릭스를 통해 제작·방영됐고, '유미의세포들' 등 작품도 영상화를 앞두고 있다.
네이버웹툰의 지난해 글로벌 월간활성사용자(MAU)는 7200만명으로, 거래액은 8200억원을 기록하며 목표를 초과 달성했다고 회사 측은 밝혔다.
네이버 한성숙 대표는 글로벌 시장에서 영향력을 확대하기 위해, 국내 플랫폼 간의 경쟁을 넘어 시너지를 낼 수 있는 경쟁력 있는 플랫폼 간의 긴밀한 협업에 방점을 찍고 있다.
같은 날 한성숙 대표는 최근 웹 소설 부문 세계 1위 업체인 캐나다 '왓패드' 인수와 관련해 "점점 더 중요해지는 글로벌 IP 시장을 선점하기 위한 전략적 결정"이라며 "웹툰과 웹소설이 시너지를 주고받으며 글로벌 이용자와 창작자를 증가시키는 선순환 모델이 만들어질 것"이라고 말했다.
그는 "영상화된 IP의 글로벌 흥행은 원작 소비에 대한 욕구를 증대시켜 더 많은 사용자가 웹툰에 다시 인입되는 선순환을 낳고 있다"며 "궁극적으로 모든 핵심 글로벌 스토리텔링 IP가 네이버 플랫폼을 통해 만들어지도록 할 것이며, 양질의 IP를 기반으로 다양한 신규사업 기회를 모색해 나갈 것"이라고 강조했다.
특히 한 대표는 전날 발표한 빅히트 엔터테인먼트와의 전략적 제휴와 관련해서도 "글로벌 엔터테인먼트 시장 공략에도 속도를 낼 계획"이라고 말했다.
그는 "K팝 사업 노하우를 갖춘 엔터테인먼트 기업들과 네이버의 콘텐츠 라이브 스트리밍 기술 결합을 통해 네이버 라이브 공연을 시작으로 팬 커뮤니티, 커머스로 이어지는 엔터테인먼트 가치사슬 전반에서의 사업 기회를 확보할 것"이라며 "한국뿐 아니라 미국·유럽·남미 등 K팝 인기가 높은 지역으로도 빠르게 확장할 수 있을 것"이라고 설명했다.
한편 네이버와 빅히트는 전날 ‘브이(V)라이브’와 ‘위버스’의 사용자·콘텐츠·서비스 등을 통합한 새로운 글로벌 팬 커뮤니티 플랫폼을 만든다고 지난 27일 밝힌 바 있다. 이를 위해 네이버는 위버스를 운영하는 빅히트의 자회사 비엔엑스에 총 4119억 원을 투자해 지분 49%를 인수하고, 비엔엑스는 네이버 브이라이브 사업부를 양수한다.
네이버는 최근 캐나다 웹 소설 회사 왓패드를 6억 달러(약 6500억 원)에 인수한 데 이어 또다시 대형 투자를 단행하며 공격적인 콘텐츠 확보 행보를 보이고 있다.
오늘경제
-
'코로나19 위기 불구' 의미 있는 성장 실현한 네이버
[오늘경제 = 한송희 기자]네이버가 지난해 신사업 부문의 가파른 성장에 힘입어 역대 최고 실적을 올렸다.네이버는 지난해 연결 기준 매출 5조3천41억원, 영업이익 1조2천153억원을 올렸다고 28일 공시했다. 이는 2019년보다 각각 21.8%, 5.2% 증가한 역대 최고치다.연간 영업이익은 2017년 이후 3년 만에 다시 1조원을 넘었다. 그러나 최근 적자를 내는 일본 자회사인 라인 부문의 실적이 반영되지 않았음에도 영업익 신장률은 매출의 그것을 따라가지 못했다.작년 4분기 매출은 1조5천126억원, 영업이익은 3천328억원으로
2021-01-28 | IT -
네이버 신입사원 191명, 'AR 사옥'에서 비대면으로 입사 교육...첫 출근부터 '재택근무'
[오늘경제 = 한송희 기자]네이버는 올해 신입사원 입문 프로그램을 비대면으로 마쳤다고 25일 밝혔다.네이버는 신입 입문 과정을 '코드 데이'(code day)라고 부른다. 서로 코드를 맞춘다는 의미다.올해 코드 데이는 이달 11∼22일 열렸다. 네이버 및 계열 법인의 개발·디자인·기획·경영지원 등 191명의 입사자가 참여했다.원래 코드 데이는 네이버의 춘천 연수원·데이터센터, 광주 파트너스퀘어, 일본 라인 사옥 등을 방문하면서 체험·토론하는 식으로 열린다.올해는 '밴드'로 소통하고, '네이버웍스&
2021-01-25 | IT -
네이버 스타트업 양성조직 'D2SF', 블록체인 게임 스타트업에 투자
[오늘경제 = 한송희 기자]네이버의 스타트업 양성조직(액셀러레이터) 'D2SF'(D2 스타트업 팩토리)는 블록체인 게임 엔진을 개발한 스타트업 '나인코퍼레이션'에 투자했다고 6일 밝혔다.나인코퍼레이션은 블록체인 기술을 활용한 게임 엔진 '립플래닛'을 개발한 곳이다.이들이 개발한 게임 엔진은 중앙 서버가 필요 없어서 다중접속 게임도 오픈 소스로 운영할 수 있고 이용자들이 콘텐츠 제작에 참여하기도 용이하다.네이버 D2SF 측은 "나인코퍼레이션의 게임 '나인 크로니클'은 현재 북미
2021-01-06 | IT
-
2020-12-28
-
2020-12-23
-
2020-12-1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