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진출처=연합]](/news/photo/202101/67818_39857_2015.jpg)
[오늘경제 = 방수진 기자]
삼성전자가 올해부터 2023년까지 정규 배당 규모를 연간 9조 8000억원으로 기존보다 2000억원 상향한다.
또한 2018년∼2020년 주주환원 정책에 따른 잔여재원을 활용한 특별배당금을 더해 보통주 기준 주당 1932원의 '역대급' 배당금을 지급한다.
삼성전자는 28일 이사회를 열고 이같은 2021년∼2023년 주주환원 정책과 2020년 결산 배당을 확정 발표했다.
먼저 삼성전자는 기존 결산 배당금은 보통주 기준 주당 354원이지만, 잔여재원을 활용한 특별배당금 성격으로 1578원을 더해 주당 1932원을 지급한다.
증권가에서는 특별배당금을 1000원 안팎으로 예상했지만, 삼성이 의결한 특별배당금은 주당 1578원으로 예상보다 높았다.
우선주의 경우 기존 결산 배당금 355원에 특별배당금 1578원을 더해 주당 1933원을 받게 된다.
이번 특별배당을 포함한 배당금 총액은 13조 1243억여원이다.
보통주 시가 배당률은 2.6%, 우선주 시가 배당률은 2.7%다.
배당금은 주주총회일로부터 1개월 이내에 지급된다.
삼성전자는 올해부터 3년 간 연간 배당 규모를 기존 9조 6000억원에서 9조8000억원으로 늘린다.
정규 배당을 한 뒤 3년간의 잉여현금흐름 50% 내에서 잔여재원이 발생하면 이를 추가로 환원하는 정책도 유지하기로 했다.
삼성전자 최윤호 경영지원실장(사장)은 이날 "코로나19 등 많은 어려움 속에서도 임직원들과 이해관계자들이 열심히 노력해 특별 배당을 지급할 수 있게 됐다"며 "보유하고 있는 재원을 적극적으로 활용해 전략적 시설투자 확대와 M&A를 추진하는 한편 ESG와 준법 등 분야에서도 성과를 이뤄 주주가치를 제고해 나가겠다"고 말했다.
삼성전자 측은 “올해부터는 매년 연간 잉여현금흐름 실적을 공유해 잔여재원 규모를 명확히 하고, 의미있는 규모의 잔여재원이 발생하면 이중 일부를 조기환원하는 것을 적극적으로 검토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오늘경제
-
삼성 스마트폰, 지난해 4분기 성장 둔화도 불구 연간 영업이익 11조원대 달성
[오늘경제 = 이효정 기자]삼성전자의 스마트폰 사업 부문이 지난해 4분기 경쟁심화에 따른 마케팅비용 증가로 인한 성장 둔화에도 불구하고 연간 영업이익 11조원 대를 달성해 회복세를 보이고 있다.올해는 갤럭시S21과 폴더블폰의 대중화로 플래그십 주도권을 강화하는 동시에 중저가 시장 공략을 병행할 계획이다.삼성전자는 스마트폰 사업을 담당하는 IM(IT & Mobile Communications) 부문에서 지난해 4분기 매출 22조 3400억원, 영업이익 2조 4200억원을 기록했다고 28일 밝혔다.4분기 영업익은 전분기(4조 4500억
2021-01-28 | 기업 -
코로나19 위기 속 저력 과시…삼성전자, 작년 영업이익 35조 9939억원 기록 전년대비 29.6%↑
[오늘경제 = 이효정 기자]삼성전자가 지난해 미중 무역갈등과 코로나19 등 경제적 위기 속에서 역대 네번째로 높은 영업이익을 내며 저력을 과시했다.매출도 230조원을 넘어서면서 반도체 슈퍼 호황기에 버금가는 실적을 달성했다.삼성전자는 지난해 연결 기준 잠정실적을 집계한 결과 영업이익이 35조 9939억원으로 전년 대비 29.62% 증가했다고 28일 밝혔다.연간 영업이익이 35조원을 넘어선 것은 2013년과 2017년, 2018년 이후 네번째다.매출은 총 236조 8070억원으로 전년 대비 소폭(2.78%) 증가해 역대 세번째로 높았
2021-01-28 | 기업 -
삼성전자, 실적발표까지 하루…테슬라·인텔·특별배당 ‘3가지 포인트’
[오늘경제 = 이효정 기자]삼성전자가 오는 28일 실적발표를 앞두고 업계는 물론 재계의 시선까지 쏠리고 있는 가운데, 지난해 성과보다는 삼성의 행보에 더욱 집중하고 있는 모양새다.◆ “반도체 공장 증설은 불가피”…삼성, 구체적인 투자 계획 발표할까미국 최대 반도체 회사인 인텔이 지난 21일(미국 현지시간) 4분기 실적 발표에서 반도체 핵심 부품들은 자체 생산하되, 위탁 생산도 확대하겠다고 밝혔다.이에 대만 반도체 업체 TSMC와 삼성전자가 유력 후보로 떠오르면서 삼성전자의 미국 내 반도체 공장 증설이 불가피하다는 관측이 나왔다.실제
2021-01-27 | 기업
-
2021-01-27
-
2021-01-26
-
2021-01-2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