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오늘경제 = 김하나 기자]
넷플릭스가 자동결제를 중도 해지한 고객에게 요금을 환불해주지 않다가 공정거래위원회 심사를 받고 약관을 고치게 됐다.
공정위는 6개 온라인 동영상 플랫폼 사업자(넷플릭스·웨이브·티빙·시즌·왓챠·구글 유튜브)의 약관을 심사해 7개 불공정 조항을 시정하게 했다고 27일 밝혔다.
넷플릭스, 시즌, 왓챠는 자동결제를 해지한 경우 이미 결제한 해당 월 요금은 어떤 경우에도 환불해주지 않았으나, 앞으로 고객이 서비스를 이용하지 않거나 사업자 잘못이 있는 경우 결제 후 7일 안에 해지하면 환불해주게 됐다.
이를테면 넷플릭스 '스탠더드 멤버십'에 가입한 소비자가 4월 1일 1만 2000원을 자동결제하고 한번도 이용하지 않고 있다가 같은 달 6일 해지했다면 4월분 요금을 모두 돌려받을 수 있다. 하지만 가입 이후 6일 내에 한 번이라도 영상을 본 경우 그달 요금을 환불받을 수 없다.
유튜브와 왓챠의 갑질도 종지부를 찍게 됐다. 두 회사는 그간 서비스 요금이 올라간다는 것을 고객에게 미리 알리지 않고 임의로 인상할 수 있게 하는 조항을 두고 있었다. 이는 가격 인상 시 고객이 사전에 동의해야 하고, 동의하지 않으면 자동결제가 갱신되지 않도록 바뀌게 됐다.
넷플릭스와 왓챠는 최초 가입 시 무료체험 기간을 두는데, 고객이 가입할 때부터 관련 서비스가 유료임을 명확히 알 수 있도록 설명을 강화하기로 했다.
웨이브, 티빙, 시즌은 환불시 회원에게 위약금을 물리는 조항을 두고 있었으나 위약금 없이 환불하도록 약관이 수정됐다. 소비자가 계약을 해지하는 것을 어렵게 하는 조항도 수정됐다.
서비스 하자로 손해를 본 고객에게 현금이 아니라 사이버머니로 보상(웨이브, 티빙)하거나, 선물 받은 사이버머니와 유료 서비스는 환불하지 않거나(티빙, 왓챠), 충전한 포인트는 환불받을 수 없게(시즌) 한 조항도 시정됐다. 현금 또는 사이버머니로 보상받을 수 있고 선물 받은 사이버머니 등에 대해서는 정당하게 환불받을 수 있게 됐다.
유튜브, 티빙, 왓챠는 사업자가 회원 계정을 종료할 수 있게 두면서 가능한 사유를 불분명하게 규정하고 있었다. 앞으로는 동영상 불법 복제 등 불법적인 목적으로 계정 이용하는 경우 등에 해당해야 계정을 종료할 수 있다.
웨이브와 티빙은 지난해 불공정 약관을 시정했고 구글·시즌·왓챠는 2월 10일 전에 불공정 조항을 고친 새 약관을 시행할 예정이다. 넷플릭스는 인터페이스를 개편해 3월부터 시행하기로 했다.
오늘경제
-
팬데믹 시대, 대세는 '넷플릭스'…전세계 가입자 지난해 2억명 돌파
[오늘경제 = 한송희 기자] 코로나 시대가 대중의 삶을 획기적으로 바꿔 놓았다. 재택근무, 사회적 거리두기 등 자연스럽게 집에 머물러야 하는 기간이 장기화되면서, 영화와 드라마 등 비대면 여가 활동 수요가 늘어난 것이다.특히 온라인동영상서비스는 가히 상상을 초월하고 있다. 그리고 이러한 서비스의 인기는 넷플릭스가 선두권을 달리고 있다. 유튜브, 네이버 TV, 카카오TV를 무력화시키고 있다.지난 1997년 비디오와 DVD를 우편·택배로 배달하는 서비스로 출발했던 넷플릭스는 지난 2007년부터 인터넷 스트리밍으로 '거대한 공룡&
2021-01-20 | IT -
[오늘경제] 넷플릭스 6개 불공정약관조항 시정조치
[오늘경제 = 이범석 기자] 한눈에 보는 오늘경제,공정거래위원회 약관심사과는 세계 최대 온라인 동영상 서비스 사업자 넷플릭스 이용약관을 심사한 결과 일방적인 요금변경 조항 등 6개 유형의 불공정약관을 적발하고 시정조치를 내렸다.공정위의 이번 약관심사는 "OTT 이용자 수 급증 및 국내외 사업자의 신규 진입이 예상되는 가운데 소비자 권익보호가 절실하다는 판단에서 그동안 문제가 제기된 국내 대표 사업자인 넷플릭스의 이용약관을 심사하게 됐다"고 배경을 설명했다.공정위 심사결과 넷플릭스는 약관에 고객의 동의 없이 요금변경 내용의 효력을 발
2020-01-17 | 사회 -
'계정 공유' 광고하며 성장한 넷플릭스, 단물 다 빨아먹었다 이거예요?
[오늘경제 = 임혁 기자] "벼룩 잡으려다 초가삼간 태운 꼴입니다. 해지하겠습니다."동영상 스트리밍 업계의 선두주자 넷플릭스가 복수의 이용자들이 비밀번호 계정을 공유한 '단체 시청' 행위를 차단하기로 해 논란이 예상된다.넷플릭스는 자사 콘텐츠의 무단 시청을 막기 위해 본인 계정 확인 기능을 테스트하고 있다고 11일(현지시간) 미국 경제전문 매체 CNBC 방송 등이 보도했다.본인 계정 확인 기능은 돈을 내고 넷플릭스 서비스를 이용하지 않는 사람이 유료 가입자인 지인의 계정 비밀번호를 이용해 넷플릭스 콘텐츠를 즐기는 것을
2021-03-13 | I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