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G전자, 가상인간 연사로 내세우고 세계 최초 롤러블폰 선보여
![로봇 제품 소개하는 승현준 삼성리서치 소장 [사진제공=삼성전자]](/news/photo/202101/66410_38781_101.jpg)
[오늘경제 = 이효정 기자]
세계 최대 전자·IT 전시회 ‘CES 2021’이 11일(미국 현지시간) 사상 첫 온라인 개막을 알리면서 전 세계 업체들이 참가해 신기술과 미래비전을 선보였다.
우리나라의 삼성전자와 LG전자는 ‘집·일상·사람’을 주제로 참가해 인공지능(AI)과 사물인터넷(IoT) 등 신기술을 접목한 혁신 제품·서비스를 대거 선보이며 세계 시장을 이끄는 선도적 지위를 확인했다.
삼성전자와 LG전자는 이날 온라인 설명회를 열고 전략 신제품과 개발 중인 미래형 로봇 등을 소개했다.
CES 2021이 전면 온라인으로 개최되며 예년과 같은 대규모 전시는 꾸리지 못했으나, 중국 화웨이가 불참하는 등 올해 참여 기업들이 대폭 줄어들며 업계와 미디어의 관심은 상대적으로 더욱 삼성전자와 LG전자에 쏠렸다.
삼성전자에서는 연구·개발 조직인 삼성리서치 승현준 소장(사장)이 프레스 컨퍼런스에 나와 “코로나19가 비대면 시대로의 전환 등 새로운 일상과 위기를 가져왔으나, 이를 극복하고 더 나은 일상으로 나아가는 노력을 다같이 해야 한다”며 “삼성전자가 사람 중심의 기술·혁신으로 적극적으로 기여하겠다”고 밝혔다.
삼성전자는 세계 최초로 인텔의 AI 솔루션을 탑재한 로봇청소기 신제품 ‘삼성 제트봇 AI’, 제트봇 AI를 활용한 반려동물 돌봄 서비스 ‘스마트싱스 펫’을 공개했다.
현재 연구 중인 새로운 가정용 서비스 로봇 ‘삼성봇™ 핸디(Samsung Bot™ Handy)’도 이날 처음 모습을 드러냈다. 스스로 물체의 위치나 형태 등을 인식해서 잡거나 옮기고 다양한 집안일을 돌본다.
이외에 기존에 공개됐던 돌봄 로봇, 서빙 로봇, 착용형 보행 보조 로봇 등도 더욱 발전된 기술을 드러냈다. 승현준 사장은 “로봇은 AI 기반 개인화 서비스의 정점”이라며 “하드웨어와 소프트웨어를 최적화한 결합을 통해 개인 삶의 동반자 역할을 하겠다”고 말했다.
코로나19로 집에서 보내는 시간이 늘어남에 따라 요리, 운동 등 집에서 하는 다양한 활동을 더욱 편하게 돕는 AI 기반 서비스들과 라이프스타일 가전·TV 제품들도 소개됐다.
LG전자는 프레스 컨퍼런스를 통해 가상인간(Virtual Human) ‘김래아’(Keem Reah)와 세계 최초 롤러블폰(둘둘 말았다 펴는 스마트폰) ‘LG 롤러블’을 처음 공개해 이목을 끌었다.
김래아는 LG전자가 AI 기술을 통해 구현한 가상인간으로, 딥러닝을 통해 입체적이고 생동감 있는 모습을 보여줬다. 김래아는 컨퍼런스 연사로 나서 특정 공간에서 방역 작업을 하는 로봇 ‘LG 클로이 살균봇’, 2021년형 LG그램과 올레드(OLED·유기발광다이오드) 패널을 적용한 전문가용 모니터 ‘LG 울트라 파인 올레드 프로’ 등을 소개했다.
LG 롤러블의 구체적인 사양과 구동 방식 등은 이날 공개되지 않았고, 사전 광고(티징·teasing) 형식으로 실물을 드러냈다.
권봉석 LG전자 최고경영자(CEO) 사장은 컨퍼런스에 영상 내레이터로 등장해 “예상치 못한 방식으로 빠르게 변하는 시대에 고객이 더 나은 삶을 영위하고 소중한 일상을 지키도록 하는 혁신의 여정을 멈추지 않겠다”고 강조했다.
LG전자 역시 AI와 연계한 가전 관리 애플리케이션 ‘LG 씽큐’, 스마트폰으로 식품 바코드를 찍으면 최적의 조리법을 찾아서 알려주는 ‘인공지능쿡’ 등 신기술 기반 서비스들을 더욱 진화한 형태로 보여줬다.
LG전자가 미국 홈 서비스 업체 ‘홈어드바이저’와 제휴해 LG 씽큐 앱에서 집안 가전을 다른 공간으로 설치하도록 신청하는 서비스도 선보였다.
CES 주최 측과 한국정보통신산업협회에 따르면 이날 개막한 행사에 130여개국에서 2000여 개 업체가 참가했다. 국적별로는 ▲미국 570개 ▲한국 345개 ▲중국 203개 ▲프랑스 135개 등 순이었다.
한때 CES를 휩쓸었던 중국 업체들이 미중 무역갈등 심화 등 영향으로 대거 불참하면서, 우리나라 업체들이 주최국인 미국 다음으로 가장 많이 참가해 CES 2021을 주도하는 모습이다.
국내 기업들은 코로나19 영향으로 조명받는 비대면 건강관리(헬스케어), 모빌리티 스마트홈, AI, 로봇 등 혁신 기술 분야 곳곳에 출전해 ‘K기술력’을 과시했다.
대기업 중에서는 삼성전자와 LG전자 외에 LG디스플레이, GS칼텍스, 만도, 한국앤컴퍼니그룹(전 한국타이어그룹) 계열사 모델솔루션, 아모레퍼시픽 등이 참가했다.
국내 스타트업은 사상 최대인 260개사가 참가해 글로벌 시장 진출을 모색한다.
오늘경제
-
아모레퍼시픽, CES 2021 혁신상 수상 기술 2건 전시
[오늘경제 = 임혁 기자] 아모레퍼시픽이 11일부터 14일까지(미국 현지시간) 온라인으로 열리는 세계 최대의 소비자 가전 및 기술 전시회, CES 2021(Consumer Electronics Show 2021)에 참가한다고 밝혔다.지난해에 이어 2년 연속 CES에 참가하는 아모레퍼시픽은 디지털 전시를 통해, 올해 혁신상을 수상한 두 가지 고객 맞춤형 혁신 뷰티 기술을 전 세계에 선보인다는 계획이다.CES 2021 헬스&웰니스 부문에서 혁신상을 받은 ‘립 팩토리 바이 컬러 테일러(Lip Factory by Color Tailor S
2021-01-11 | 유통 -
"OLED 기술의 진화"...LG디스플레이, 화질 진일보시킨 차세대 OLED TV 패널 공개
[오늘경제 = 최주혁 기자] LG디스플레이(대표이사 사장 정호영)가 화질 완성도를 높인 차세대 OLED(유기발광다이오드) TV 패널을 11일 CES 2021에서 전격 공개했다.픽셀 하나하나가 스스로 빛을 내는 자발광 디스플레이인 OLED TV 패널은 LG디스플레이가 지난 2013년 세계 최초로 양산에 성공한 이후 매년 기술의 진화를 거듭하며 성능을 발전시켜왔다.이번 CES 2021에서 공개한 77인치 차세대 OLED TV 패널은 OLED 화질의 핵심인 유기발광 소자를 새롭게 개발해 화질의 진일보를 이뤄냈다는 평가다.첨단 디스플레이
2021-01-11 | 기업 -
삼성·LG 비롯 한국기업들, 온라인 CES 출격한다…‘뉴노멀’ 미래기술 선보일 예정
[오늘경제 = 이효정 기자]세계 최대 전자·IT 전시회인 CES가 사상 첫 온라인 개최를 앞두고 삼성전자와 LG전자를 필두로 한 한국 기업들이 신기술·신제품을 들고 출격한다.올해는 코로나19 여파로 행사가 전면 온라인으로 개최되며 예년보다 참여 기업이 급감했으나, 그 가운데서도 코로나가 불러온 ‘뉴노멀’에 걸맞은 기술력 경쟁이 펼쳐질 전망이다.◆삼성·LG전자 일제히 사전 행사…‘일상 속 혁신’ 주제로 참가삼성전자와 LG전자는 CES 2021이 개막하기에 앞서 사전 행사를 열고 올해 전략 신제품인 미니 LED TV를 앞다퉈 출시했다.
2021-01-07 | I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