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업은행이 대한항공의 아시아나항공 인수 추진을 위해 8000억원을 투입하기로 했다. [사진제공=연합]](/news/photo/202012/64021_36921_389.jpg)
[오늘경제 = 이효정 기자]
아시아나항공이 14일 서울 강서구 본사에서 열린 임시 주주총회에서 재무구조 개선을 위한 무상감자 안건이 가결됐다고 밝혀 대한항공 인수 절차도 탄력을 받을 것으로 보인다.
의결권행사 주주 41.8%가 참여해 96.1%가 무상감자(자본금 감소의 건)에 찬성했다.
이로써 아시아나항공은 이달 28일 액면가액 5000원의 기명식 보통주식 3주를 동일 액면금액의 보통주식 1주의 비율로 병합하는 3:1 비율의 무상감자를 시행한다.
자본금은 1조 1162억원에서 3721억원으로 감소한다. 발행주식 총수는 2억 2320만주에서 7441만주가 된다.
아시아나항공 최대 주주인 금호산업은 6868만주에서 2289만주, 박삼구 전 금호아시아나그룹 회장은 1만주에서 3333주, 금호석유화학은 2459만주에서 819만주가 된다.
아시아나항공은 지난 2분기 기준 자본잠식률이 56.3%이며, 추가 자본확충이나 감자 없이는 관리종목 지정이나 신용등급 하락의 가능성을 배제하기 어렵기 때문에 감자를 한다고 설명했다.
애초 2대 주주(지분율 11.02%)인 금호석유화학이 주총에서 무상감자를 반대할 수 있다는 전망도 나왔지만, 금호석화는 이날 주총에 참석하지 않은 것으로 전해졌다.
금호석화는 대주주의 부실 경영에 대한 징벌적 성격의 무상감자인 만큼 최대주주와 일반주주의 감자 비율을 달리하는 차등감자를 해야 한다고 주장한 바 있다.
금호석화는 대한항공의 아시아나항공 인수가 결정되고, 무상감자도 인수 절차 중 하나로 진행 중인 상황 등을 고려해 주총에서 반대표를 내지 않은 것으로 해석된다.
아시아나항공이 예정됐던 무상감자를 통해 자본잠식 문제를 해결하면서 대한항공 인수 절차도 탄력을 받을 것으로 보인다.
아시아나항공은 대한항공과의 통합을 앞두고 유동성 확보를 위해 손자회사인 금호리조트 매각도 추진 중이다.
최근 매각 주관사인 NH투자증권 등이 예비입찰을 마감한 결과 금호석화와 사모펀드 등 10여 곳이 인수의향서를 제출한 것으로 알려졌다.
금호리조트는 경기도 용인시 소재 36홀 회원제 골프장인 아시아나CC를 비롯해 경남 통영마리나리조트 등 콘도 4곳과 중국 웨이하이 골프&리조트 등을 보유하고 있다.
오늘경제
-
‘관광비행’으로 항공업계 살린다…아시아나·제주항공, 국제 관광비행 시작
[오늘경제 = 이효정 기자]코로나19로 마비된 항공업계를 살리기 위해 아시아나항공과 제주항공이 오는 12일부터 목적지 없이 일본 상공을 비행하는 국제 관광비행 상품을 출시했다고 8일 밝혔다.아시아나항공은 대한해협을 건너 일본 규슈 지방을 하늘에서 관람하는 ‘A380 당일치기 해외여행’ 상품을 출시했다. 내년 1월 초까지 ‘하늘 위의 호텔’로 불리는 대형 여객기 A380을 활용한 관광비행 상품을 판매한다.오는 12일 오후 1시 인천국제공항을 출발해 오후 4시 20분 돌아오는 일정으로 대한해협을 건너 일본 상공을 비행한 뒤 제주 상공을
2020-12-08 | 자동차/항공/조선 -
아시아나항공, '코로나로' 유럽에 고립된 국가대표팀 데려온다
[오늘경제 = 최주혁 기자]아시아나항공이 대한축구협회와 함께 코로나19 확진 판정으로 유럽에 고립된 남자 축구대표팀 수송을 위해 전세기를 투입한다.23일 아시아나항공에 따르면 이 회사는 24일 12시(한국 시간) OZ5477(B777)편을 편성해, 의료진들을 오스트리아 빈에 투입한다. 이들은 대표팀 선수단과 의료진 18명을 태우고 25일 12시(현지 시간) OZ5487편으로 26일 6시(한국 시간) 한국에 도착한다.아시아나항공은 이번 전세기편에 다수의 확진자가 탑승하는 것에 대해, 방역지침에 따라 기내 캐빈승무원들 방호복 착용 등
2020-11-23 | 자동차/항공/조선 -
아시아나항공, 국유화 가능성 모락모락…금융위 부위원장 “모든 가능성 감안해 협의 중”
[오늘경제 = 이효정 기자] 아시아나항공이 국유화 될 가능성에 주가가 급등하는 가운데, 손병두 금융위원회 부위원장은 28일 아시아나항공 매각 협상과 관련해 “모든 가능성을 다 감안해서 기관 간 협의를 진행하고 있다”고 말했다.손 부위원장은 이날 금융리스크 대응반 회의가 끝나고 기자들과 만나 ‘아시아나항공 인수 협상이 깨지면 국유화 가능성에도 대비하고 있느냐’는 취재진의 질문에 이같이 답했다. 그는 이어 “미리 섣불리 ‘이쪽으로 간다, 저쪽으로 간다’ 예단할 필요는 없을 것 같다”고 부연했다.정치권과 산업계에 따르면 아시아나항공 인수
2020-07-28 | 자동차/항공/조선
-
2020-06-25
-
2020-05-29
-
2019-12-0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