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오늘경제 = 장미란 기자]
카카오뱅크가 상반기에 이어 3분기에도 흑자 기조를 이어간 가운데 수수료 수익 확대로 비이자부문이 흑자 전환했다.
카카오뱅크는 올해 3분기 당기순이익이 전년 동기 대비 600% 증가한 406억원을 기록했다고 4일 밝혔다.
3분기 기준 누적 당기순이익은 859억원으로 전년 동기 대비 458% 늘어났다.
비이자부문은 전국 모든 ATM 수수료 무료, 중도상환해약금 면제 등에도 불구하고 주식계좌개설 신청, 신용카드 모집 대행 및 체크카드 이용 실적 확대 등으로 분기 기준 첫 흑자를 기록했다.
3분기 기준 순수수료이익은 41억원, 2020년 1~3분기 누적 기준으로는 3억 7000만원이다. 지난해 같은 기간 누적 수수료 순손실 규모는 391억원이었다.
카카오뱅크는 지난해 3월부터 여러 금융사와의 제휴를 통한 다양한 상품과 서비스를 출시해왔다. 한국투자증권, NH투자증권, KB증권과 연결하는 ‘주식계좌개설신청서비스’는 올해 9월말 누적 기준 261만 증권계좌가 카카오뱅크를 통해 개설됐다.
올해 4월, 신용카드사 4곳과 함께 선보인 ‘신용카드 신청 서비스’를 통한 발급 신청 건수는 9월말 기준 40만건에 이른다.
지난 9월부터는 한국투자증권의 해외주식거래서비스인 ‘미니스탁’도 카카오뱅크를 통해 이용할 수 있다.
이자부문의 순이자이익은 대출 자산 증가로 전분기 대비 소폭 증가한 1079억원이며, 올해 누적으로는 2908억원으로 집계됐다.
순이자마진(NIM)은 1.64%였다.
9월말 기준 대출 상품의 잔액은 18조 7300억원이며, 3분기 중 대출 증가액은 1조 3900억원으로 나타났다.
총 자산은 25조원이다.
연체율은 0.23%, 바젤III기준 BIS자본비율은 13.45%를 기록했다.
오늘경제
-
‘내 신용정보’ 한눈에 확인한다…카카오뱅크, ‘내 신용정보’ 가입자 500만명 돌파
[오늘경제 = 이효정 기자] 카카오 뱅크는 신용등급, 신용점수, 카드 사용, 대풀 보유 현황 등 자산 정보를 한눈에 확인할 수 있는 ‘내 신용정보’ 서비스 가입자가 500만명을 넘어섰다고 2일 밝혔다.2018년 10월 제1금융권에서는 처음으로 출시된 이후 매달 평균 25만명이 가입했다. 연령별로는 30대가 37%로 가장 많았고 20대(30%), 40대(24%), 50대 이상(10%) 순으로 나타났다. 이 중 ‘신용점수 올리기’ 기능을 사용한 가입자는 약 71만명으로, 실제 약 40만명이 신용점수가 올랐다. 1인당 오른 신용점수 평균
2020-07-02 | 은행 -
카카오뱅크, 1분기 순이익 185억…전년比 181%↑
[오늘경제 = 장미란 기자] 지난해 첫 흑자를 기록한 한국카카오은행(카카오뱅크)이 올해 1분기에도 성장세를 이어갔다. 카카오뱅크는 1분기 당기순이익이 185억원으로, 전년 동기 대비 181.3% 증가했다고 6일 밝혔다. 1분기만에 지난해 당기순이익 137억원을 웃도는 순이익을 거둬들인 것이다. 대출 자산이 성장해 이자수익이 늘어난 데다 수수료 부문의 적자폭이 개선돼 1분기 실적이 크게 개선됐다는 게 카카오뱅크의 설명이다. 1분기 순이자수익은 844억원으로 작년 동기보다 54.9% 증가했다. 순수수료 손실 규모는 지난해 148억원에서
2020-05-06 | 은행 -
카카오, 작년 매출 3조 시대 열고 영업익 2.8배↑..."광고·웹툰이 효자네"
[오늘경제 = 박태석 기자] 카카오가 지난해 수익 개선을 가속화하며 매출 3조원, 영업이익 2000억원을 돌파했다.카카오는 지난해 연결 기준 매출 3조898억원, 영업이익 2066억원을 올렸다고 13일 공시했다. 매출은 전년 대비 28%, 영업익은 183% 각각 증가했다.연간 기준으로 매출은 사상 최대, 영업익은 다음·카카오 합병 당시인 2014년(2089억원) 이후 최고 기록이다.회사 측은 "카카오톡 중심의 비즈니스 구조 안착과 신규 사업의 수익 모델 확대가 역대 최고 매출과 이익으로 이어졌다"고 설명했다.4분기 매출은 8673억
2020-02-13 | 기업
-
2020-12-03
-
2021-01-2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