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오늘경제 = 김종진 기자]
"부동산 대책의 효과가 나타나고 있다" “주택 시장은 이미 안정화되고 있다"
8·4 공급대책 이후 서울 집값과 전셋값이 안정세를 찾아가고 있다는 이 같은 정부 발표와 달리, 서울 아파트 전셋값 상승률이 2015년 이후 최고치를 경신했다는 조사 결과가 나왔다.
정부 당국은 연일 부동산 시장이 안정화 과정에 있다는 발언을 이어가고 있지만, 부동산 전문가들은 이 같은 낙관론에 대해 고개를 갸우뚱하며 불안요소가 더 많다고 입을 모으고 있다.
17일 민간 시세 조사업체 부동산114가 실제 전세 계약과 회원 중개업소를 통해 받은 적정 시세, 자체 조사 등을 종합해 분석한 결과에 따르면 지난달 말 기준 서울 아파트 전셋값은 작년 말보다 5.9% 상승했다.
이는 8개월 동안의 상승률이지만 과거 연간 상승률과 비교해도 2015년 이후 가장 높다.
서울 아파트 전셋값 연간 상승률은 2015년 16.9%를 기록한 이래 2016년 4.7%, 2017년 4.1%, 2018년 1.9%, 2019년 2.5%를 나타냈다.
부동산114는 "(서울아파트 전셋값은) 지난해 5월부터 올해 8월까지 16개월째 꾸준한 오름세가 이어졌다"며 "특히 올해는 전세 매물 부족으로 전통적인 비수기인 7, 8월에도 전셋값 상승 폭이 커지면서 상승세가 계속됐다"고 설명했다.
그러면서 "현재 가을 이사가 한창인 점을 고려하면 올해 전셋값은 당분간 고공행진이 이어질 전망"이라며 "새 임대차법과 사회적 거리 두기의 영향으로 인해 재계약 위주로 전세 시장이 움직이는 상황에서 사전청약 대기 수요까지 가세한 분위기"라고 덧붙였다.
오늘경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