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거리가게 [서울시 제공]](/news/photo/202007/46436_26487_2243.jpg)
[오늘경제 = 김재월 기자]
서울시는 시민 보행권 회복과 거리 가게의 생존권을 위해 무허가 거리 가게(노점) 허가해 관리하는 '거리 가게 허가제'를 전 자치구로 확대 추진하고 있다.
서울시는 7월 말에는 약 40년간 정비작업이 정체됐던 흥인지문-동묘앞 역의 약 1.2㎞ 구간, 약 100여 개의 노점을 대상으로 '거리 가게' 특별 정비 시범사업을 준공한다고 8일 밝혔다.
앞서 5월에는 관악구 신림역 일대 거리 가게 21개 소 판매대 교체와 함께 보도 및 조경 정비를 완료하는 등 보행환경 개선에 집중적으로 나서고 있다.
창신동 동대문역 및 동묘앞역 일대 지역은 완구 거리, 봉제거리, 먹자골목, 한옥마을 등 상권 및 명소로 관광객 및 방문객이 높다.
그러나 보행 인구보다 거리 보도 폭이 좁고 각 노점의 규격은 제각각 난립해있어 통행뿐만 아니라 상점 이용 시에도 불편을 초래해왔다.
약 40여 년 동안 이 지역 일대를 메웠던 노점은 방문자가 더 안심하게 이용할 수 있는 깔끔한 '거리 가게'로 거듭나고 동묘 앞 구제 거리와 동대문 일대 쇼핑지역을 잇는 새로운 명소로 발전한다.
시는 지난해 혼잡하기로 유명했던 영등포역 앞(영중로) 거리 정비를 완료하며 약 50년간의 시민 숙원 사업을 완료했다.
관악구(신림역 일대, 5월 준공)에 이어 7월 말 종로구(흥인지문∼동묘앞역) 일대까지 준공되면 총 5개 시범 사업 중 3개 사업을 완료하게 되며, 중랑구(태릉시장), 동대문구(청량리청과물시장 외) 시범사업도 차근차근 진행 중이다.
이 밖에도 시범사업과 별개인 청량리역 일대 외 4개소의 거리 가게 허가제 사업도 지난해 말 성공적으로 완료했다.
시는 시민의 보행권과 거리 가게 생존권을 보장하는 '거리 가게 허가제' 정책을 광역지자체 중 최초로 2019년부터 시행 중이다.
도시미관을 해치지 않는 일정 요건을 갖춘 거리 가게에 정식으로 도로점용 허가를 내주고, 운영자는 점용료 납부 등 관련 의무를 다하며 안정적으로 영업할 수 있는 정책이다.
황보연 시 도시교통 실장은 "거리 가게 허가제 사업은 현장에서 적게는 수십에서 백여 차례의 이해관계자 간 협의와 논의로 진행되는 만큼 사업 준공까지 모든 단계의 과정에서 각고의 노력이 필요하다"며 "거리 가게 허가제 정책을 통해 거리 가게, 상인, 시민 등이 함께 공존의 가치를 실현해 모범적인 상생 모델로 거듭날 수 있길 바란다"고 밝혔다.
오늘경제
-
[오늘경제] 서울시 내년 예산 39조5359억원…광화문광장 예산 대폭 감축
[오늘경제 = 홍상수 기자] 한눈에 보는 오늘경제,서울시 내년도 예산이 지난 16일 서울시의회(의장 신원철) 본회의를 통과해 39조5359억 원으로 확정됐다. 내년 예산은 역대 최대로 40조원에 육박하는 규모다. 이중 일반회계는 26조8934억원이다. 특별회계는 12조6425억원이다. 광화문광장 재구조화, 문화재 복원과 주변 정비는 213억원에서 153억원, 시민광장 조성 예산은 294억원에서 156억원으로 대폭 줄었다. 시의회는 광화문광장 재구조화 사업이 추진 일정이 불투명하다는 이유로 서울시 예산 배정에 대해 우려해왔다. 박원순
2019-12-18 | 금융 -
[오늘경제] 박원순 시장, 지자체장 최초 美상공회의소 초청연설
[오늘경제 = 이범석 기자] 한눈에 보는 오늘경제,박원순 시장이 14일 3백만개 이상의 기업 회원을 갖고 있는 세계 최대 비즈니스 조직 미 상공회의소 초청으로 국내 지자체장 가운데 최초로 연설에 나서 눈길을 끌었다.박원순 시장은 이날 연설에서 ‘오늘이 바로 한반도 투자의 적기’라는 주제로 서울시의 인재 기반 혁신창업 육성 등 경제정책 및 철학을 소개하며 이를 바탕으로 한 서울의 투자경쟁력을 강조했다.서울시는 혁신창업 지원을 위해 홍릉, 양재, 여의도 등 주요 거점에 약 2만4000㎡에 달하는 기업공간을 추가로 확충하고 시 지원을 통
2020-01-15 | 사회·문화 -
[오늘경제] 서울시, 의도적으로 체납시킨 세금 161억 징수…단일건 역대 최고
[오늘경제 = 이범석 기자] 한눈에 보는 오늘경제,서울시는 “지난달 지방세 체납세액 중 단일건으로 역대 최고액인 161억을 징수한 사례가 나왔다”고 15일 밝혔다. 해당 체납건은 서초구 내곡동 소재 부동산 161필지에 대한 부동산 매매에 따른 취득세를 체납한 건으로 부동산 신탁을 통한 조세회피 및 미등기 전매를 추진하다 38세금징수과 전문관에 의해 제동이 걸렸고 소송제기와 끈질긴 증거자료 확보 노력으로 결국 체납세금을 전액 징수할 수 있었다. 이번에 징수한 161억은 2013년 발생된 취득세 89억원과 이후 2019년 11월까지 누
2019-12-15 | 사회·문화
-
2020-01-20
-
2020-07-09
-
2020-07-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