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0mm차륜형대공포 [방위사업청 제공]](/news/photo/202006/45283_25724_640.png)
[오늘경제 = 임혁 기자]
한화디펜스가 방위산업청과 2500억원 규모의 30mm차륜형대공포 최초 양산 계약을 지난 24일 체결했다.
한회디페스는 이번 계약으로 30mm차륜형대공포의 본격적인 양산에 착수한다.
최초 양산된 30mm차륜형대공포는 내년부터 순차적으로 전력화할 예정이다.
이번 양산사업은 한화디펜스, 한화시스템 등 주요 5개 방산업체와 중소협력업체 200여 개사가 참여하고 국산화율 또한 95%이상으로, 방위산업의 활성화와 일자리 창출에 크게 기여할 것으로 예상된다.
27일 방위산업청과 한화디페스에 따르면, 차륜형대공포는 노후화된 육군과 공군, 해병대에서 장기간 운용중인 구형 대공포 발칸을 대체하기 위해 개발됐다.
한화디펜스가 2015년부터 2019년까지 5년간 연구개발했으며, 시험평가를 거쳐 군의 요구기준을 모두 충족하여 지난 1월 방위사업추진위원회에서 최초양산계획을 확정했다.
30mm차륜형대공포는 사거리가 기존의 발칸의 1.6배인 3Km 이상으로 늘어났으며 차륜형장갑차를 차체로 활용하여 개발됨에 따라 기동부대와 함께 방공작전이 가능하고 개발비용과 운영유지비도 절감할 수 있다.
특히 30mm차륜형대공포의 눈이라고 할 수 있는 전자광학추적장치(EOTS)는 한화시스템(주)에서 국내 기술로 최초 개발하여 유사무기체계에서 운영 중인 해외 도입품 대비 자체적으로 표적을 탐지·추적하여 사격이 가능하도록 성능을 향상했고, 단가도 1/3 수준으로 비용을 절감했다.
운용인력 역시 기존 발칸과 비교하여 중대 기준 48명에서 18명으로 운용이 가능해져 미래 전장 환경에 맞는 명실상부한 저비용·고효율의 대공포라 할 수 있다.
이번 양산사업은 해외 무기 발전 추세를 반영하여 기동성이 향상된 차륜형대공포를 개발함으로써 향후 수출도 기대되며, 다양한 위협에 대응할 수 있도록 단거리유도탄과의 복합화 등 성능개선도 가능하다.
방위사업청 안효근(고위공무원) 유도무기사업부장은 “30mm차륜형대공포의 양산으로 기동성이 향상된 신속대응으로 저고도 공중 방위능력 향상과 경제적으로 어려운 시기에 방위산업 활성화와 일자리 창출에도 크게 기여할 것으로 기대된다”고 밝혔다.
![30mm차륜형대공포 [방위사업청 제공]](/news/photo/202006/45283_25725_723.png)
오늘경제
-
한화디펜스-KT, 국방로봇 사업협력 MOU 체결...무인지상장비 사업 경쟁력 강화
[오늘경제 = 최해원 기자]한화디펜스(대표이사 손재일)와 KT(대표이사 구현모)가 국내 최초로 국방로봇 분야에 특화된 5G 통신기술 협력에 나선다. 양사는 지난 26일 국방 무인지상장비 분야 전반에 걸친 협력과 제휴를 위해 양해각서(MOU)를 체결했다고 30일 밝혔다.이번 MOU를 통해 한화디펜스는 다목적 무인차량 등 다양한 무인지상장비에 5G 원격·자율주행 통신기술을 적용하고, KT는 국방로봇이 운용되는 군부대에 5G MEC 구축사업을 협력 추진할 예정이다. 양사는 이 외에도 국방로봇 무선통신 기술과 콘텐츠, 서비스 기반의 협력
2020-10-30 | 기업 -
[軍 미래전력 사업 잡아라] 남다른 기술력 자랑하는 한화디펜스, 이번엔 ‘폭발물탐지제거로봇’ 체계개발 계약
[오늘경제 = 최주혁 기자] 한화그룹 계열 한화디펜스(대표이사 손재일)가 군의 미래형 신사업 수주에 총력전을 벌이고 있다.한화디펜스가 24일(오늘) 방위사업청과 미래 전장에 투입될 폭발물탐지제거로봇 체계개발 계약을 맺었다고 밝혔다. 체계개발 계약은 약 180억 원 규모로, 오는 2023년 6월까지 진행될 예정이다. 폭발물탐지제거로봇은 전·평시 병력을 대신해 지뢰와 급조폭발물 등을 탐지 및 제거하는 미래형 국방로봇으로 한화디펜스의 남다른 기술력을 보여줬다는 평가다.지난 2006년 이후 15종 이상의 무인체계 및 국방로봇 분야 국책 과
2020-11-24 | 인사이드 밀리터리 -
[포토뉴스] 한화-美육군, 첨단 무기체계 공동 연구개발 나선다
[오늘경제 = 최해원 기자]한화그룹 방산계열사와 미 육군이 첨단 무기체계와 주요 구성품 등에 대한 공동 연구개발에 나선다. ㈜한화와 한화디펜스는 지난 10일 미 육군 전투력발전사령부 무장센터(DEVCOM AC )와 공동 연구개발 협정(CRADA)을 맺었다고 16일 밝혔다. 이번 협정은 미 정부가 연구기관과 대학, 기업, 국가 간의 공동 연구개발을 통해 다양한 분야의 기술 이전을 촉진하기 위해 만든 제도로, 한국 기업이 미 육군과 관련 협정을 체결한 건 이번이 처음이다. DEVCOM 고위급 대표단은 지난해 11월 한국을 방문해 한화
2020-12-16 | 포토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