하체근력 지원 로봇에 이어 두 번째로 선보이는 ‘클로이 수트봇’
2019년 1월 초 열리는 세계 최대 가전전시회 ‘CES 2019’에서 일반에 처음으로 공개

LG 클로이 수트봇 (제공: LG전자)
[오늘경제] LG전자가 새로운 디자인과 기능의 웨어러블 로봇을 선보이며 로봇설루션 사업에 가속도를 낸다고 27일 밝혔다.
LG전자는 산업현장이나 상업, 물류공간에서 사용자의 허리근력을 보조하는 ‘LG 클로이 수트봇(CLOi SuitBot)’을 선보였다. 이 제품은 LG전자가 8월 선보인 하체근력 지원용 로봇에 이어 두 번째로 선보이는 클로이 수트봇이다.
이 제품은 사용자가 일정 각도 이상으로 허리를 굽히면 이를 감지해서 로봇이 준비상태에 들어가고 사용자가 허리를 펼 때 로봇이 사용자 허리에 가해지는 힘을 보조하는 식으로 작동한다. 반복되는 작업에서 사용자의 허리에 가해지는 부담을 줄여줄 수 있다.
또 이 제품은 기존 웨어러블 로봇들의 약점이었던 불편한 착용감을 대폭 개선해 사용자가 간편하게 입고 벗을 수 있는 것도 장점이다.
LG전자는 2019년 1월 8일 미국 라스베이거스에서 열리는 세계 최대 가전전시회 ‘CES 2019’에서 이 제품을 일반에 공개한다.
웨어러블 로봇은 무거운 물건을 들고 내리는 작업자들의 부상을 예방할 수 있어 다양한 산업현장을 중심으로 수요가 빠르게 늘고 있다. 글로벌 시장조사업체 BIS리서치는 세계 웨어러블 로봇 시장은 2016년 1,000억원 규모에서 오는 2026년에는 5조원 규모까지 성장할 것으로 전망하고 있다.
LG전자는 가정·상업용에서 산업·의료용까지 다양한 분야에서 활용 가능한 제품 콘셉트를 공개하며 로봇 사업에 가속도를 내고 있다. LG전자는 사업 포트폴리오를 지속 확대하며 로봇설루션 분야를 선도해 나간다는 계획이다.
LG전자가 지금까지 공개한 클로이 로봇은 이번 신제품을 포함한 ‘수트봇(CLOi SuitBot)’ 2종 △인천국제공항에 투입된 ‘안내로봇(CLOi GuideBot)’ △평창동계올림픽에서 청소서비스를 제공한 ‘청소로봇(CLOi CleanBot)’ △가정용·상업용 다방면에서 활용이 가능한 ‘홈로봇(CLOi Home)’ △‘잔디깎이로봇(CLOi LawnBot)’ 외에도 2017년 CES에서 처음으로 선보인 ‘서브봇(CLOi ServeBot)’, ‘포터봇(CLOi PorterBot)’, ‘카트봇(CLOi CartBot)’까지 총 9종이다.
LG전자 로봇사업센터장 노진서 전무는 “고객들이 일상생활에서 경험하게 될 LG 클로이만의 차별화된 고객가치와 사용자경험을 높일 수 있도록 사업 포트폴리오를 지속 강화해 나갈 것”이라고 말했다.
[오늘경제=문성봉 기자] mlsj2000@hanmail.net
오늘경제, STARTUPTODAY
-
LG전자, 네이버와 로봇 연구개발 협력 범위 지속 확대
[오늘경제] LG전자가 고객들에게 실질적인 가치와 감동을 주는 로봇을 선보이기 위해 네이버랩스와 공동으로 로봇 관련 연구개발을 진행한다고 10일 밝혔다. LG전자와 네이버는 현지시간 9일 미국 라스베이거스에서 열리고 있는 세계 최대 IT전시회 CES 2019에서 양사 전시부스를 서로 방문하며 협업 방안을 모색했다. 네이버랩스 석상옥 헤드, LG전자 노진서 로봇사업센터장 등이 부스 방문에 참석했다. 양사는 우선 LG전자의 ‘클로이 안내로봇(CLOi GuideBot)’에 네이버의 고정밀 위치·이동 통합기술플랫폼인 ‘xDM(eXten
2019-01-10 | 기업/산업 -
2019년 13대 주력산업, 자동차·섬유 생산·수출 ‘먹구름’... 내수는 증가세
[오늘경제] 산업연구원은 최근 발행한 ‘2019년 13대 주력산업 전망’ 보고서에서 생산 및 수출이 전년대비 저조할 것으로 분석했다.보고서에 따르면 세계 경제, 중국 성장세 둔화, 보호무역 기조 강화 등의 요인으로 부정적인 영향을 미칠 전망이다.또한 경기부진에 따른 소비심리 위축으로 자동차, 섬유, 의류 등 수요가 줄어들 예정이며, 철강·정유·석유화학·섬유소재 등 소재산업 생산에 타격을 줄 것이라고 밝혔다.아울러 보고서에 의하면 자동차, 일반기계, 섬유에 대한 국내 투자가 감소할 것으로 보이나, IT산업·석유화학 등에 대한 투자
2019-01-02 | 사회/문화 -
노크톡, 스마트폰 자동차 키 서비스 ‘스키’ 론칭
[오늘경제] 스마트카 서비스 설루션 전문 기업 (주)노크톡(대표 최인주)이 12월 스마트폰 자동차 키 서비스 ‘스키’을 출시할 계획이라고 21일 밝혔다. 스키 서비스를 이용하면 사용자는 캔 커피처럼 생긴 키 서버를 자동차 내부에 두는 것만으로도 자동차 키나 리모컨 없이 자동차를 사용할 수 있다. 키 서버는 리모컨 버튼을 사용자 대신 눌러 자동차를 동작시키는 역할을 한다. 별도의 자동차 배선 작업없이 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기 때문에 자동차에 무리를 주지 않으며 리모컨 시스템이 가진 품질의 안정성을 그대로 유지한 것이 스키만의 특징
2018-12-21 | 기업/산업
-
2018-12-18
-
2018-12-18
-
2018-12-17